Page 37 - 에코힐링 13호(2016 겨울호)
P. 37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꿈을 찾는 아이들                        표2-1 산림치유프로그램에 따른 자아존중감 변화 비교                  32.7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요보호아동 중 14세부터 19세까지                                                   29.6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자아존중감(50점             33 체험전 체험후
만점), 대인관계정도(50점만점), 우울수준(65점만점),  자립준비수준      32.5                                      2016
(55점만점) 등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자아존
중감은 자아존중이 정도의 자아승인 양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로젠             32 31.9
베르크(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세(1974)가 번안한 척도이  31.5
다. 우울의 경우 삶에 대한 관심, 동기의 결여, 활력의 상실, 절망감
및 자살에 대한 생각 등 기분이나 감정의 저조 등의 문항으로  ‘간이          31
정신진단검사’ 중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정도는 진석균            30.5
(1994)이 수정한 척도로 친근감, 민감성, 이해성, 신뢰감, 개방성, 의
사소통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립준비척도는 한국복지             30 29.8
인력개발원 아동자립지원사업단에서 개발(2013)한 척도 중 돈관리기         29.5
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정             29
도, 우울수준, 자립준비수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28.5
이와 같이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가 요보호아동의 심리, 사회적 개
선 효과가 확인된 바, 좀 더 확대하여 시행할 필요성을 느껴 2017년         28
부터 3년의 재협약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재협약을 통해 진행되는                                      2015
프로그램은 연령, 성별 등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프로그
램으로 재구성할 예정으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표2-2 산림치유프로그램에 따른 대인관계 변화 비교                   36.9
                                                                                     35.3
                                              37.5 체험전 체험후
                                                37                                      2016

                                              36.5
                                                36
                                                                               35.6

                                              35.5
                                                35 34.7

                                              34.5
                                                34

                                              33.5
                                                                           2015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정도, 우울수준,
자립준비수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표2-3 산림치유프로그램에 따른 우울수준 변화 비교   25             표2-4 산림치유프로그램에 따른 자립준비수준 변화 비교          34.2
 27.5                                            35                                  체험후
                               체험후  2015         34                                                2015
   27 26.9                                       33
                                                 32
 26.5                                            31
                                                 30 29.8
   26                                            29
                                                 28
 25.5                                            27
                                                                        체험전
   25

 24.5

   24
                          체험전

36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