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에코힐링 25호
P. 38

숲태교 프로그램의 효과  대>20대 순으로 30대 참여자가 가장 많았다. 참여자
 숲태교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숲태  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 임신부 스트레스를 비교한 결
 교 프로그램은 임신 중인 산모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  과, 참여자의 신체 불편감· 태아·양육 관련 스트레스

 며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켜 정서안정에 도움이 된다  증상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배우자·가사일 관련
 고 보고하였다(박범진 등, 2012; 장선희 등, 2014; 이미  스트레스 증상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울러 전체
 나 등 2015). 또한, 박석희 등(2017)은 임신부의 행복감  임신부 스트레스 증상은 유의하게 낮아졌다(체험 전, 평
 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신부의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  균 1.51점 → 체험 후, 평균 1.04점). 또한 참여자의 기
 정뿐만 아니라 가족관계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  분상태검사를 분석한 결과, 하위항목인 긴장·피로·분
 로 배우자가 함께 참여하는 숲태교 프로그램의 중요성  노·혼란·우울·활력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개선되
 을 강조하였다.    었다. 마찬가지로 전체 기분상태 점수도 유의하게 개선

 경북 영주에 위치한 국립산림치유원에서는 2018년 1박  되었다(체험 전, 평균 14.53점 → 체험 후, 평균 -0.97
 2일 숲태교 프로그램에 다녀간 임신부 및 가족 30명에   점). 1박 2일간의 숲태교 프로그램이 임신부 및 가족의
 대하여 숲태교 프로그램을 참여 전·후로 어떠한 변화  스트레스 해소와 기분상태 개선에 크게 도움을 주고 있
 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참여자의 연령대는 30대>40  음을 보여주었다.
                                                             자연물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 / 국립장성숲체원

 임신부 스트레스 척도 분석결과  필자도 올해 9월 사랑스러운 아이가 태어났다. 출산에 대한            은 대화 및 태아와의 교감을 통해 육아와 출산에 대한 걱정
               걱정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배우자와 함께 필자가 근무하                 은 줄어들었고 우리 아이와의 행복한 미래에 대한 생각은
 참여 전   구분  사전평균  사후평균  사전-사후
 1.51 점  평균차이  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진행하는 숲태교 프로그램에 참여                   무럭무럭 자라났다. 현재는 건강하게 태어나서 쑥쑥 자라나
 신체  1.47  1.03  0.44  하였다. 처음으로 직장이 아닌 프로그램 참여자로 국립산          고 있는 아이의 기억 어딘 가에도 숲태교로 시작한 첫 여행
 스트레스 척도  태아  1.59  1.06  0.53  림치유원을 방문하였다. 직원이 아닌 참여자로 국립산림치  이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있길 바란다. 사랑스러운 우리 아
 (평균)
 0.47  양육  2.08  1.53  0.55  유원을 거닐 때에 느낌은 새로웠으며 풍경 하나하나가 눈에   이와의 행복한 첫 여행.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숲태교로
 감소  배우자  0.83  0.55  0.28  들어왔고 뱃속 아이와 함께하는 우리 가족의 첫 여행은 그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뱃속 아이와의 잊지 못할 큰 추억
 참여 후   가사일  1.7  1.03  0.67  렇게 시작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배우자와의 많  으로 기억될 것이다.
 1.04 점  전체  1.51  1.04  0.47
                                                숲태교 프로그램 가이드라인(산림청, 2017)
 스트레스 척도(평균)
                  구분       프로그램 주제                주요 내용                              활동
 기분상태 척도(K-POMS-B) 분석결과
                                                                         부모됨을 선언하기, 부모-태아 애착 이해하기,
                         부모-태아 애착 증진     부모-태아 애착, 모성정체성, 부모정체성              가족 사진찍기, 아기에게 편지쓰기,
 참여 전
 사전-사후                                                                         나와 나의 부모님 생각하기
 구분  사전평균  사후평균  14.53
 평균차이  점
                                                                           태아의 발육 이해하기, 아기와 대화하기,
 긴장  4.87  1.37  3.50  기본  태아 발달과정 지지           태아의 발육 이해                     숲 산책하기, 숲 소리 경청하기,
 기분상태 척도
 피로  5.60  1.97  3.63                                                       숲 속 요가, 자연물을 활용한 만들기
 (평균)
 분노  4.17  1.07  3.10  15.50  임부 정서안정         정서안정, 스트레스 감소               숲 속 명상,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대화하기,
 혼란  5.10  3.43  1.67                                                             내 몸에 감사하기
 감소
 우울  2.80  0.90  1.90   임부 자기관리 역량강화       자기관리 역량강화, 신체건강증진                임부 건강관리법 배우기, 숲 속 요가
 참여 후
 활력  8.00  9.70  -1.70  심화
 -0.97 점                  분만자신감 획득             분만과정 이해하기                      분만과정 이해하기, 숲 속 요가,
 전체  14.53  -0.97  15.50                                                       탄생을 기대하는 파티하기
 기분상태 척도(평균)

 36                                                         37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