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1. 에코힐링 34호(2022년 봄) PDF
P. 19
초록 리포트
몸과 마음을 회복하게 하는 숲으로 가면 쾌적함을 느끼고 마음이 안정되는
것을 많이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숲의 어떤
다양한 산림 속 자원 요소들 때문에 숲에 가면 이런 기분이 드는 걸까?
기존에 많이 알려진 피톤치드 외에 다양한 산림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산림치유자원조사팀 이효정 대리 치유자원의 효과와 측정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산림치유자원의 종류
QR코드를
스캔해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서는 산림치유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
보세요..
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산림청에서는 경관, 피톤치드, 음이온,
소리, 햇빛을 대표적인 산림치유자원으로 소개하고 있다. 가리산 조망점 점봉산 치유경관
심신을 안정시키는 알파파(뇌파)가 증가하고, 심리적으로는 정신적 피로에서 회복하는 주의회복력이 높게 2) 이연희, 박찬우, 김재준,
2)
나타난 결과가 있다 . 또한 산림 경관 속에 물이 있는 경우 긍정적 감각과 회복감을 더 크게 향상하는 것으로 2014. 산림풍경 유형에
의한 시각적 자극이
3)
나타났다 . 경관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경관을 평가했는데 그중에 공통
인체에 미치는 심리,
적으로 연구된 조망적 특성(조망점 수, 조망 각도, 조망 거리, 능선수), 특이경관 수(폭포, 호수, 식물 군락 등), 생리적 영향. 인간식물
환경학회. 17(1) 65-71.
방해요소 수(전선, 철탑, 공사 시설, 숙박 시설 등)를 10개소 명품숲에서 조사하였다. 실제 산림에서 경관은
인체 회복에 도움이 되는 물과 관련된 경관과 산림의 환경을 두루 볼 수 있는 조망점이 다수 존재했으며 경
3) 이정희, 신원섭, 연평식,
관을 방해하는 요소는 숲 당 평균 1.6개소로 적게 나타났다. 유리화, 2009. 산림의
시각요소가 인체의
출처: 산림청 심리·생리에 미치는
심신의 안정을 도와주는 숲의 소리 영향. 한국임학회지.
도시, 자연에는 다양한 Soundscape가 존재한다. Soundscape란 Sound(소리)와 Scape(경관)의 복합어로 자 98(1). 89-93.
산림치유자원의 효과에 따른 산림치유자원 조사·분석 결과 연의 변화 과정을 반영한 지역의 음향적 특성이다. Krause(1987)는 소리를 생물들이 내는 생물 소리, 바람,
4) 김지연, 이재윤, 기경석,
비, 천둥 등과 같은 무생물적인 소리를 무생물 소리,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를 인위적 소리라고 구분했
2017. 자연공원과 도시
4)
2021년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산림치유자원조사팀에서는 국가 연구개발의 하나로 1) 심규원, 박헌춘, 다 . 이러한 소리가 인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으로 도시 교통음과 자연의 소리를 들려주고 뇌파를 측 공원의 Soundscape
전국 명품숲 10개소 대상 산림치유자원 효과에 따른 실제 숲의 경관, 소리, 햇빛을 조사·분석해 보았다. 남승민, 2021. 정한 연구가 있다. 자연의 폭포 소리를 들었을 때 심신을 안정시키는 알파파가 증가했으며 도심 교통음을 들 특성 차이. 한국환경
경관형용사 분석법을 생태학회지. 31(1). 112-118.
5)
을 때, 스트레스 상태일 때 많이 측정되는 베타파가 많이 감지되었다(그림1) . 실제 10개소 명품숲에서도 인
활용한 국립공원
아름다운 환경으로 회복을 돕는 경관 마을 유형별 경관 체에 유익한 소리와 해로운 소리를 알아보기 위해 생물 소리, 무생물 소리, 인위적 소리로 나누어 조사·분석 5) 견두헌, 배명진, 2009.
경관은 인간의 시각과 주관에 의해 보이는 물리적 형태로 경관 있는 그대로의 객관적인 형태보다 공간을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을 진행했다. 숲에서 인위적인 소리는 평균 0.8회 정도로 적았고, 생물 소리가 평균 10.5로 가장 많았으며 물 도심 교통음과 자연의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소리에 대한 음향심리
1)
인지하는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특성과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 소리로 대표되는 무생물 소리가 4.5로 뒤를 이어 쾌적한 Soundscape 환경으로 조사 되었다(그림2).
25(2). 1-12. 분석. 한국음향학회지.
이러한 경관을 봤을 때 인체에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 관련 연구 사례로 산림의 경관을 봤을 때 생리적으로는 28(4). 356-362.
ECO HEALING 2022 SPRING VOL_34 18ㅣ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