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36호) 에코힐링 가을호 단면_최종
P. 55
PART
01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
참가자
2 3
1 산림복지 미래인재 역량강화 교육 현장
2 경상대학교 4학년 강주연 실습생
3 경북대학교 3학년 박주이 실습생
Q1 본인 소개 부탁드려요. Q3 실습이 장래 계획에 영향을 미쳤나요?
A1 경상대학교 산림학과 4학년 강주연, 경북대 A3 (주연) 네! 산림교육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일
학교 임학과 3학년 박주이입니다. 둘 다 산림업 이 적성과 맞는다는 걸 알게 되었거든요. 이제 인
분야로 취업을 꿈꾸고 있어요. 장애인, 초등학생 턴을 준비할 건데, 이전과는 다르게 ‘확신’을 가지
등 전 국민에게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를 현장 고 취업 준비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에서 지켜보고,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을 미리 경 (주이) 나무의사에 관심이 있어 임학과에 진학했
험해 보고 싶어 ‘대학생 현장실습학기제’에 지원 는데, 현장실습을 통해 시야가 넓어지니 이제는
하게 되었습니다. 숲 전체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Q2 실습에서 무엇을 배웠나요? Q4 다른 대학생들에게 현장실습 참여를 추천하
A2 칠곡숲체원 산림교육팀에서 4주 동안 약 10 나요?
개 프로그램 진행을 보조했어요. 프로그램 참가자 A4 한 달 동안의 실습과정을 통해 산림교육 업무
들에게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산림보 사이클에 대한 이해나 비즈니스 매너 등 어디에서
호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였습니다. 도 알 수 없던 현장 경험을 배웠습니다. 특히 산림
교육 중 나뭇조각을 이용한 놀이나 나뭇잎을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해 보고 칠곡숲체원 직
해 작품 만들기를 하는데, 장애물이 없는 공간에서 원 분들 앞에서 시연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어 미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등의 안전관리 또한 함께 래 진로 결정에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다른 친
맡았습니다. 마지막 주엔 직접 교육 프로그램을 기 구들도 기회가 된다면 꼭 경험해 보시길 추천해요.
획해 보며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도 수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자를 넘어 사회 조직원으로
집하고 교구 개발 등의 아이디어도 구상했어요. 서도 산림에 대해 새롭게 알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거예요!
54ㅣ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