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에코힐링 13호(2016 겨울호)
P. 8
산림치유지도사
산림 산림, 보건, 의료, 간호 등 산림치유지도사
치유지도사가 관련학과 졸업 양성과정 수료
또는 관련업무 경력
되려면
국가자격 시험
산림치유분야 고용의 안정성 확보 및 민간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전문성과 서비스 다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인
제도를 도입했다.
130만
치유의 숲 100만
70만
2016년 기준으로 운영 중이거나 조성 중인 치유의 숲은 전국적으로 41개가 있으며, 전국에 고르게 분포40되만 어 있다. 이중 국립은 10개소이며, 나머지는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치유의 숲 연간 방문자 수는 약 115만명에 이르며 이 중 8.5%에 해당하20는10 약21001만1 명2이012치유2의013숲에20서14운영201중5
인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했다.
치유의 숲 130만 치유의 숲 12만
방문자수 100만 프로그램 10만
70만 이용자수 8만
6만
40만 4만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산림치유 연구 10년 추진 현황 (2007년~2016년)
12만
10만 산림치유 기반구축을 위한 걷기를 활용한 임도의 치유적 활용에
프숲을로그이램용한개발건8만(2강0·07치~유2011) 통합의학적 응용기술 개발(2010~2014) 관한 연구(2012~2015)
통합의학적 응용기술을 적용하여 치유의
산림치유 효과6만에 관한 임상연구 및 치유 숲에서 활용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임도를 치유적으로 활용함에 있어 건강증진효
의 숲 조성 기술을 개발해 정책추진의 기 피톤치드 물질의 산업화 실행방안 마련 과를 규명하고 걷기모델을 개발해 국민들의 인
반을 마련하4고만대국민홍보를 수행하여 식을 전환하고 더 나아가 걷기 관련 산업 발전
향후 산림치유 연구의 기틀 마련 2013 2014 2015 에 기여
2010 2011 2012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산림치유연구사업단(2012~2017)
산림치유의 대국민 홍보를 통해 국민의 인식변화 및 의학연
계를 통한 의료분야 인식 전환과 산림치유로 확장될 수 있는
산업과 인력 확대에 기여
한의학적 산림치유 개념정립을 통한
한국형 산림치유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효과 규명(2010~2013)
한의학적 관점을 산림치유에 접목해 다
양한 콘텐츠 및 프로그램 등 산림치유
실용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산림치
유 확대에 기여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