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에코힐링 13호(2016 겨울호)
P. 9

스페셜 이슈②
                                    수목장림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으로
                                  되돌아가다

                                     수목장림은 단순한 장묘방법이 아니라
                                     숲에서 이루어지는 산림복지시설이다.
                                     ‘회년기’ 산림복지서비스 수목장림을 소개한다.

                                       글+사진  권병석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수목장림사업팀 팀장

                                한국형 모델 수목장림 최초 스위스에서 시작한 수목장림은 독일, 일본,

              국립하늘숲추모원 수목장림 모습  국립하늘숲추모원      미국 등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립하늘숲추모원 방문 가족 기념촬영
                                              2004년 말 고려대학교 故김장수 교수의 수목장
   국립하늘숲추모원에서의 자전거 동호회 활동
8                               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여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와 다른 숲과 국

                                민정서로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한국형 수목장림 모델’이 필요하다는 목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필자는 과거 해외의 수목장림에서 산책과 숲 체험을 동시에 즐기고 있는

                                시민들을 보면서 ‘죽은 자와 산 자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혐오시설이 아닌

                                ‘산림복지시설’로서의 비전을 볼 수 있었다. 인위적 시설물의 설치나 훼손없

                                이 자연산림 그대로 수목장림을 조성·운영하는 스위스의 수목장림에서는

                                조금 허전한 느낌마저 있었지만, 수목장림 내에 소규모의 숲 체험시설을

                                조성하여 시민의 이용공간으로 조성한 독일의 수목장림에서는 앞으로 지향

                                해야할 수목장림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최근 장사문화의 변화로 국내에서도 수목장림에 대한 의식변화를 느낄 수

                                있는데 국내 모델 수목장림인 ‘국립하늘숲추모원’에서 하이킹을 즐기거나,

                                가족이 방문하여 도시락을 먹는 모습들을 볼 수 있게 됐다. 특히 올해 개장

                                한 국립하늘숲추모원 야영장은 여름철을 중심으로 많은 인원이 방문하여 캠

                                핑을 즐기고 있는데 그만큼 수목장림이 혐오감을 벗고 단순 묘지가 아닌 산

                                림복지시설로서 국민에게 다가가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산림전문기관        수목장림에서 장례관련 업무는 ‘안치’하는 한

                                참여를 위한 기준마련   순간뿐이지만 숲의 관리는 영구적으로 지속가

                                              능해야 하며 특히 수목의 관리뿐 아니라 산불,

                                산사태, 병해충 등 자연재해에 취약한 특성을 고려할 때 산림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 산림전문기관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하

                                지만 수목장림은 여전히 보건복지부 소관으로 다른 장묘방법과 유사하게 취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