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23호]2019+에코힐링+여름호-최종본-고해상
P. 24

스토리_편집실
                                                                                             그림_김대지

 김만조 소장은 연구소 앞에 시범 산림생태텃밭을 조성했
 는데, 귀농을 희망하는 방문객들이 몰려들어 산림생태텃밭  #산림생태                 안~돼!                                미안. 여름 장마에
 의 인기를 실감하고 있다고 말한다. 산림생태텃밭은 연중                        내 보물 1호      엉엉~다 너 때문이             물이 불어나 더
                                                                    야! 너가 여기서
                                                       조각배!
 다양한 먹거리를 생산해 새로운 소득원으로도 손색이 없어   텃밭                                띄우자고 해서.               재밌을 줄 알았지.
 귀농, 귀촌을 꿈꾸는 많은 사람들에게 자급자족형의 새로
 운 텃밭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김만조 소장은 앞으로도 경
 쟁력 있는 힐링푸드 소재의 발굴, 생산과 활용방안을 모색
 MINI INTERVIEW
 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와 세계화를 선도하는 R&D 허브  김만조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할 계획입니다. 국민건강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우수한 자원을 발굴, 육성해
 산업화에 활용하여 국민건강 증진은 물론 농•산  어쨌든 이제   쳇! 사과도          어이~ 친구들,                                 거울이라면
 농 산촌 소득증대에 기여하는 자생 산림약용자원을 발굴하  촌 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허브기관이 되고자 합니  너랑 안 놀아!   했는데 어쩌라고?   잠깐만!      집에서 보고
 ˙
 고, 활용기술을 개발하여 새로운 산림치유 모델을 제시하는  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학문 및 연구분야와의 융복합  흥!  나도 싫어!  신기한 거 가져왔는데   숲에 웬 거울?  나왔다구!
                                                     함께 볼래?
 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시각으로 연구하여,
 데 주력할 생각입니다. 이를 위해 여러 협력기관과 네트워크  우리나라 산림약용자원의 산업화, 세계화에 기여
 를 구축해 최고의 연구성과를 내겠습니다.”      하겠습니다.”



 INFO


 산림생태텃밭(Forest garden)이란?
 산림생태텃밭은 숲에서 다양한 식물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을 모방한  이렇게 거울로   와! 진짜 다른           근데 세상을                    걱정마. 내가
 다. 즉 숲 생태계처럼 기능하도록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되는 교목, 관목,   숲을 보면   세상이 보여.        거꾸로 보니까 혼자                꼭 잡아 줄게.
 초본류, 덩굴 식물을 각각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해 다층적 재배방식을 통  새로운 세계가                   걷기가 어렵다!
 해 함께 자라는 ‘생태정원’ 형태로 구현한 텃밭이다. 산림생태텃밭에는 높  펼져진다고!
 이 자라는 유실수나 특용수 아래에 키 작은 관목류, 채소, 산채, 약초류가
 간작 및 혼작 형태로 자라며 *퍼머컬처(permaculture)에서 추구하는 지
 속가능성과 자연생태 윤리에 입각하여 무농약, 무경운의 유기농 자연농법
 을 지향한다. 산림생태텃밭에서는 1년생 작물 위주인 기존의 텃밭재배 품
 목에 유실수, 특용수, 산채, 산약초 등 산림에서 생산되는 임산물도 재배품
 목에 포함시킴으로써 건강 기호식품 등 다양한 웰빙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
 다. 식물이 자라는 봄부터 가을까지 내내 신선하고 다양한 제철 먹거리
 를 얻을 수 있으며, 나무와 초본류가 함께 자라므로 원예 및 경관가치도 뛰
 어나 텃밭정원으로도 훌륭하다.   이젠 너 차례야!              응. 너가                                           에헴~ 원래 숲에는
 현재 한국형 산림생태텃밭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수행되었던 산  내가 도와줄게  도와주니까             포이 덕분에                   신나게 놀며 배울 게
                                                                                           정말 많아. 앞으로도
                                                                  우정이 돈독해졌어.
 림복합경영 과제(’10 ~ ’12년) 시 연구 성과의 전시모델로 최초 기획되었으  신기하지?  든든해!        고마워!                     기대해!
 며, 2010년 경기도 화성 산림생명자원연구부 어천시험림 내에 2,000㎡가 조
 성됐다.  이후 2016년 경북 영주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산법시험림 내에 2,000
 ㎡ 가 조성되어 총 2개소 4,000㎡의 산림생태텃밭이 운영되고 있다. 산림생태
 텃밭은 은퇴자 및 귀산촌 희망자로부터 호응도가 높고 건강하고 다양한 산림
 먹거리를 3계절 공급할 수 있어 보급 및 확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퍼머컬처(permaculture) : 자연 생태계를 모방해 자연농법, 생태디자인, 생태건
 축, 자원 재활용, 재생가능 에너지, 친환경 물관리 등을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농업생산
 과 주거환경을 만들어가는 방법론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앞에 조성된 산림생태텃밭
                                    *앞으로 숲의 요정 포이가 동물 친구들과 만들어가는 행복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22                                                         23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