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36호) 에코힐링 가을호 단면_최종
P. 66

스마트 산림복지





          ICT 기술과

          산림복지의


          만남













          1


          ICT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사람과 사람을 넘어 사물을 연결하는 정보통신기               는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들은 뒤떨어질 것이기
          술이다. 최근 ICT 분야는 빅데이터(Big Date), 모바      때문이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일(Mobile), 웨어러블(Wearable) 영역이 화두다.      구글(Google)은 검색엔진 회사가 아니라 빅데이터
          빅데이터는 기존 관리와 분석 체계로는 처리할 수              기업으로 불릴 정도가 되었다. 아마존(Amazon)이
          없는 방대한 데이터를 말하는데, 데이터를 빠르게              나 나이키(Nike) 등 많은 기업들도 소비자들의 데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등장으로 빅데이터가 다양              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소비자들
          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데이터와 관계             이 쏟아내는 엄청난 디지털 데이터와 이러한 데이
          된 기술과 도구(수집·분석·시각화 등)도 빅데이터             터를 분석하는 도구의 개발로 기업은 소비자들을
          의 범주에 포함된다.                             정교하게 분류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수요에 맞

          모바일, 클라우드, SNS의 등장으로 인프라와 데             추어 제공할 수 있다. 소위 ‘버려진’ 데이터를 가지
          이터에 변화가 생겼고, 데이터 증가에 따른 분석              고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과 대응이 ICT의 중요 이슈로 부각되며 빅데이터             기회가 무수하게 늘었다는 것이다. 세계의 데이터
          가 ICT 시장과 기술발전의 핵심으로 인식된다. 이            양이 2년마다 두 배로 증가하는 엄청난 데이터 홍
          에 따라 세계 정부와 기업들은 빅데이터가 향후 조             수 속에서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현실화하면 공공,
          직이나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             민간 영역에서 성과는 크게 향상될 것이다. 산림복
          적, 경제적 가치의 원천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빅           지 분야에선 ICT 기술을 활용해 어떤 노력을 하고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고 잠재된 정보               있는지 소개한다.
          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들은 시장을 선도할 수 있




          <자료출처>
          김대건(2013년)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향과 시사점. 『방송통신정책』, 제25권 21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새로운 시대를 여는 빅데이터 시대』.
          [네이버 지식백과] ICT (창조경제정책의이해, 2014. 4. 15., 김대호)

          ECO HEALING  2022 AUTUMN  VOL_36                                                                                                                                                                                 66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