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36호) 에코힐링 가을호 단면_최종
P. 22
초록 리포트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산림치유의 심리회복 효과 영상을
시청해
보세요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산림복지효과분석팀 김예원 주임
2020년 1월 우리나라에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우리는 일상에 큰 변화와 어려
움을 겪고 있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변화된 사회에서 어려움을 겪은 국민에게 산림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산림복지효과분석팀이 분석한 심리회복 효과를 소
개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코로나19는 수많은 감염자를 양산하고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게 하면서 국민을 불안과 공포에 빠지게 했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는 사적 모임이나 집회 등을 축소하는 단계별 방역 수칙을 이행하였고, 국민
도 이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평범하게만 생각했던 일상에 변화가 나타났
다. 특히 화상수업, 재택근무 등이 급속도로 보편화되었고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면서 재택체류 시간 증가,
생활 변화, 사회·경제적 위축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 같은 현상과 함께 사회·경제 위축으로 인한 자영업자 폐업이 증가하였고, 의료진, 공무원, 군 장병과 같
은 코로나19 대응종사자들은 지속되는 현장 근무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코로나로 인해 고통받는 국민에게 숲케어 지원사업을 통한 산
림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비대면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확대·보급하는 등 새로운 산림복지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였다.
산림치유의 심리 개선 사례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산림복지효과분석팀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근로자, 만성질환자 등 다양
한 대상자에 대한 산림치유 효과연구를 지속해왔다. 특히 2021년에는 장기화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다양한 대상군의 산림치유 효과검증 연구를 추진하였다. 대상군은 ①코로나 극복을 위한 현장 지원 대응
종사자(의료인, 현장 방역 요원, 자원봉사자), ②육군 장병, ③직접 피해를 겪은 폐업 소상공인, ④감염 취약
계층인 임신부로 모두 4개 집단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심리·정서 회복 효
과는 아래와 같다.
ECO HEALING 2022 AUTUMN VOL_36 22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