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36호) 에코힐링 가을호 단면_최종
P. 23

대상자들은 당일형, 숙박형(1박 2일), 회기형, 비대면 등 다양한 형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산림치유 효과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심
                                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별로 참여한 프로그램 내용, 운영장소 및 효과검증 척도 등은
                                표로 정리하였다.



                                                            효과검증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약
                                  운영 대상     프로그램명       운영 유형   운영 기간         운영 장소            효과검증 척도
                                                                        •국립산림치유원
                                                                        •국립숲체원              •정서안정 척도
                                  코로나19    코로나 숲케어      당일형,     2021년
                                                                           (횡성, 칠곡, 장성, 청도)  •직무소진
                                 대응종사자       지원사업      1박 2일형   2월~11월
                                                                        •국립치유의숲             •회복환경지각 척도
                                                                           (양평, 대관령, 제천, 예산)
                                                                        •국립산림치유원
                                   폐업      폐업 소상공인     1박 2일형    2021년   •국립숲체원             •스트레스 반응 척도
                                  소상공인     심리회복 숲케어             7월~11월      (횡성, 칠곡, 장성, 청도,   •기분 질문지
                                                                              대전, 춘천, 나주)
                                                                        •국립산림치유원
                                                                        •국립숲체원              • 국민건강영양조사
                                              비대면       비대면      2021년
                                  육군 장병                                    (횡성, 칠곡, 대전)         단축형 스트레스 척도
                                          산림복지프로그램      키트 체험   7월~9월
                                                                        •국립치유의숲             •기분 질문지
                                                                           (대관령, 대운산)
                                                                                            <임신부>
                                                                                            •임신부 스트레스 척도
                                          「숲에서의 첫 교감」
                                                                 2021년                      •임부 태아애착 척도
                                   임신부     숲태교 산림치유     비대면             국립산림치유원
                                                                4월~10월                      <배우자>
                                             프로그램
                                                                                            •부-태아 애착 척도
                                                                                            •기분 질문지

                                              코로나19 대응종사자

                                코로나19 대응종사자 686명에 대한 정서 안정, 직무소진,
                                회복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응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으
                                로는 의료인(271명, 39.5%) > 현장방역요원(247명, 36.0%)
                                > 자원봉사자(56명, 8.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
                                램 참여 전 응답자의 ‘산림치유에 대한 인지 정도’를 측정한
                                결과, ‘들어는 보았으나, 자세히는 모른다’가 68.8%를 차지                     정서안정 변화
                                하며 응답자의 대부분은 산림치유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

                                것으로 나타났다.
                                                                              (점)
                                조사 결과, ‘정서안정’은 프로그램 참여 후 9.3점 증가했으며            70
                                ‘직무소진’은 의료진 및 현장 방역 그룹에서 자원봉사 그룹
                                에 비해 ‘정서적 소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환           60
                                경’ 변화에서는 의료진, 현장방역 요원, 자원봉사자 그룹 모
                                두 숲을 회복환경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유형                50
                                                                                       참여 전      참여 후
                                별 회복환경 지각 인식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P<.001     정서안정



                                                                                                       22ㅣ 23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