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에코힐링 5호(2014 겨울호)
P. 14
2014 vol.5 12
13
정부는 ‘온 국민이 함께하는 건강세상’을 국정목표 중 하나로 세우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각 부처의 인프라를 확충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국민에게 건강증진과 건강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 전략은 건강행태의 변화
추진, 건강관련 사회환경의 변화, 예방보건서비스 확대제공, 위해환경에 대한 조치이다. ‘우리나라 국민 81.6%는 건강 혹
은 마음의 위안과 즐거움을 위해, 산과 숲을 연 1회 이상 방문한다’고 국립산림과학원은 밝힌 바 있다. 국민의 80% 이상
이 산을 방문한다는 것은 산의 유익성이 이미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숲에 간다는 것, ‘산림치유’는 숲이 가지고 있는 경관, 소리, 피톤치드, 음이온, 온도, 습도, 광선, 먹거리
건강증진에 의미가 등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이용하여 인간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만드는 자연요법이
있는가? 다. 이러한 산림환경 인자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된 숲이 ‘치유의 숲’이며, 이는 인간
건강을 증진시키고, 회복시킬 것이라고 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Going to the forest, 산림(숲)이라는 물리적 환경인자는 걷기운동효과의 극대화, 경관에 대한 매혹감, 숲 방
Is there a 문이 주는 탈출감과 안정감 등 정신·심리적 이완중재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숲은 건
significance to 강행태를 변화시키는데 유효한 환경이다. 행태가 변화하는 것은 표1에서 보는 것과 같
health? 이 건강에 유효하다는 정보를 받고, 건강문제를 조절할 기술이 있으며, 이를 행하려는
동기를 가졌을 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을 위해 대부분의 서비스 제공자
는 대상자에게 자신감을 부여해주고, 스스로 건강을 만들어 가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건강정보
문제해결 기술 행동의 변화
동기부여
표1.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IMB) model (Fisher & Fisher, 2002)
가이드의 내용은 주로 운동과 명상, 요가를 통한 이완의 기술과 일상생활에서 주로 갖는 건강문제에 관한 자기관리정보
를 제공한다. 운동과 명상, 요가는 미국 통합보완서비스의 국가지침(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에서 권고하
는 건강효과가 입증된 중재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숲이라는 환경에서 제공했을 때 동기가 부여되고, 자신감이 생기
며, 주의집중력이 커진다는 연구는 여럿 있다.
숲은 야외활동의 기쁨을 강화하고 신체활동의 동기를 부여하는 매력적인 공간이며, 정서에 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
치고, 능동적인 자아정체성을 갖게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김윤아, Tabbush & O’Brien, 2003 재인용). 숲 학교에 다닌
아이들은 자존감과 자신감이 높고, 주의집중력이 우수하고, 자연과 친숙하다고 한다(김윤아, Murray, 2003 재인용; 이명
환, 2011, 강영식, 2009, 김선아, 2012). 이러한 자연환경과의 유대감은 사회적 유대 관계도 향상시켜 주민간 결속력이
강화되고,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높다. 또한 숲이나 녹지대 인근에서 생활하는 경우는 소득수준을 보정한 후에도 그렇지
않은 곳에서 생활하는 사람보다 평균수명이 높음을 알 수 있다(김윤아, Mitchell R, Popham F, 2008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