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에코힐링 5호(2014 겨울호)
P. 15

Professional Opinion              ecohealing magazine

Excellent environmental
requirements

숲,                                이러한 숲의 치유적 접촉을 연구자들은 크게 3가지 수준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숲(자연) 바라보기’는 제1수준,
국민 건강증진을                          ‘가까운 숲(자연)에서 생활하기’는 제2수준, ‘숲(자연)에 몰입하여 체험적 활동하기’는 제3수준이다. 인간생활 가
위한 훌륭한                            까이에 숲이 위치하고, 그 안에서 생활함으로써 건강이 증진되는 치유의 장이라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
환경적 요건이다                          는 환경과 건강지표들을 지정하는 의사결정을 할 때 DPSEEA 모델을 이용한다. 갈수록 심해지는 도시화, 위험
                                  회피, 좌식생활, 자동차 증가, 고 지방식품 섭취 증가, 녹지 감소를 경험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은 이 모델을 활용
                              숲은  하여 교육과 신체활동을 위해 숲과 산림의 이용을 늘려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어린 시절 숲에서의 경험이
                                  성인이 되어 숲을 이용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기존 교육과정의
                 국민건강증진의          학습량, 교사들이 숲 활동학습에 익숙하지 못한 점, 학생들의 안전도 등 여러 제약요건이 장벽이 되어 학생들이
                                  숲 치유를 경험하는 유익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이 되고,                특히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처럼 시간에 쫓기는 일상을 가진 층이 숲 체험을 하는 것은 귀중한 건강 회복과
      숲에서의 체험 및                   증진의 시간이 될 것이다. 빠르게 성장하는 아이들에게 연 2회 소풍을 숲 체험으로 제공한다면 아이들에게 진
  치유활동은 건강증진                      정한 휴식의 힐링이 되지 않을까? 숲은 국민건강증진의 환경이 되고, 숲에서의 체험 및 치유활동은 건강증진
서비스전략과 중재로서                       서비스전략과 중재로서 훌륭하다. 국민의 행복과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각 중앙행정부처의 여러
                                  사업이 목적달성을 위한 상호 연계점을 숲의 활용에서 찾는 것도 중요한 해법이라고 본다.
               훌륭하다.
                                  참고자료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재단(2014) : 제 3차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 / 신원섭 외(2013) : 힐링의 숲, 이룸나무
                                  김윤아(2013) : 우리나라 건강증진정책과 숲을 이용한 지역사회건강증진 탐색, 산림치유연구사업단 심포지움 자료집
                                  이명환/김은숙(2011) :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강영식(2009) : 숲체험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와 생명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
                                  김선아/임효진/김보영 등(2012) : 학교숲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자료집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