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2023 에코힐링_여름호_page
P. 34
초록 에세이
숲 경관이 주는 치유 효과
’22년 국유림 명품숲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산림치유자원 ‘경관’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 강재우 대리
숲의 탁 트인 경관(산림치유자원)을 보면 마음이 뻥 뚫리는 느낌을 누구나 한 번쯤은 받아봤을 것이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연구개
발센터는 산림치유자원 조사의 디지털 기술 도입을 통한 객관화·계량화로 과학적 근거를 갖춘 프로그램을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수
행하고 있다. 이번 여름호에서는 2022년 산림치유자원 기반 산림환경 평가법 중 국유림 명품숲 4개소의 경관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2022년 산림치유자원 연구보고서
‘산림치유자원 기반 산림환경 평가법’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에서는 숲 속 공기, 음이온, 소
리, 햇빛, 경관 총 5개 분류로 총 26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산림환
경 평가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치유자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을 제
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다양한 숲과 치유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구
축하여 국민이 자신의 건강 상태 등 수요에 맞춘 치유자원이 있는 숲을 선
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누리집
(www.fowi.or.kr) ‘산림복지연구’ 게시판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산림치유자원 ‘경관’의 효과 촉각 1.5%
후각 3.5% 미각 1%
청각 7%
환경에 대한 지각과 인식은 인체의 오감을 통해 이루어지며 지각에 대한 인
식 정도는 시각 87%, 청각 7%, 후각 3.5%, 촉각 1.5%, 미각 1% 수준으로
1)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그만큼 시각 자극은 인간의 인지 지각에 매우 중요
하다. 숲의 감상과 관련하여 평온한 숲 전경이 담긴 비디오를 보여주는 것
만으로도 대상자들의 맥박, 근육, 혈압 상태 등이 빠르게 안정된 상태로 회
복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숲이 인간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 숲 시각 87 %
경관이 환자 회복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숲 산책이나 경관 감상이 스트
레스 호르몬 농도 감소와 쾌적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 Correy A., Visual perception and scenic assessment in Australi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XXth World Congress. Canberra. Austra-
lia, 1982, 169–183.
2) Ulrich, R.S.,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1984, 224(4647):420-421.
34 ECO HEALING 2023 SUMMER VOL_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