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일자리창출 인포그래픽은 정규직 확충, 비정규직?간접고용의 정규직 전환실적, 용역근로자 정규직 전환, 연령별 성별 인력구조, 전환 근로자 처우개선 사항, 청년미취업자 고용실적, 장애인, 국가유공자 우선 채용 실적, 일가정양립을 위한 제도 등 공공분야 및 산림복지전문업 정의, 전문업 등록현황 추이, 고용인력 현황 추이, 전문업보수교육, 창업캠프, 컨설팅지원와 전문가(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 치유지도사1,2급) 발급현황 추이 등 민간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일자리창출 : 경제 활력 제고 및 일자리 중심 경제 지속 선도
공공분야 일자리 확대 선도 “사람중심 일자리 유지, 사업중심 일자리 확대
- 정규 인력의 지속적 확대 및 근로형태 개선
?新사업 및 시설 확대를 통한 강소형 기관 최대 규모 일자리 창출
* 직무능력 중심의 적합인재 130명 채용(2018년), 2018년 : 99개 → 2019년 : 95개
* 2017년 : 208명, 2018년 : 307명(전년대비 47.6% 증가), 2019년 : 402명(전년대비 30.9% 증가)
- 사회형평적 인력 채용 확대
① 여성고용 : 45.9%
* 동종업계 권고기준 : 32%
② 청년, 고졸자, 장애인, 지역인재 채용
?청년(34세이하)
* ’17년 : 16명 → ’18년 : 78.5명
?고졸자
* ’17년 : 1명 → ’18년 : 2명
?장애인
* ’17년 : 1명 → ’18년 : 23명
?지역인재
* ’17년 : 8명 → ’18년 : 56명
- 일자리 나누기 제도개선
?시간선택제(7명) : 시간선택제 도입으로 신규 일자리 7명 추가 및 채용 기반 마련
?탄력근무제(50.5%) : 탄력근무제 도입 첫 해 전 직원의 50.5% 참여 통한 연장근무 시간 단축(19.4%↓)등 업무 효율성 제고
- 정규직 전환직원 처우 개선
?보수 : ’19년 보수수준 4백만원 증가, ’18년 比 14% 증가
?복리후생 : 기존 정규직과 동등한 수준의 복리후생비 지원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산림을 새로운 일터로“
- 산림복지전문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확대
?창업지원 : 현장 밀착형 컨설팅 지원 및 정보제공
+
?역량지원 : 산림복지전문업 종사자 단계별 교육·훈련 강화
+
?사업지원 : 비즈니스 모델 및 일거리 발굴 지원
?
?산림복지전문업 일자리 창출
* 2017년 : 1,668명 → 2018년 : 2,547명 → 2019년(목표) : 2,760명
- 산림복지사업 확대로 고용 효과 창출
?사회적 배려게층 지원 : 1,101명
?지역 어르신 일자리 창출 : 85명
?청년인재 발굴 : 251명
- 농식품분야 민간일자리 콘테스트 최우수(1위)
-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혁신 우수사례 선정